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 |
 |
 |
 |
 |
 |
 |
 |
|
|
|
|
|
|
|
한국사의 바른이래 |
선사시대문화와 국가의 형성 |
통치구조와 정치활동 |
경제구조와 경제생활 |
사회구조와 사회생활 |
민족문학의 발달 |
|
|
|
|
 |
 |
연도 |
2008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단원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한국사의 바른 이해 |
0 |
1 |
0 |
0 |
0 |
0 |
1 |
0 |
0 |
0 |
0 |
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|
2 |
0 |
2 |
2 |
2 |
2 |
1 |
2 |
2 |
1 |
3 |
통치구조와 정치활동 |
9 |
8 |
7 |
5 |
8 |
7 |
16 |
13 |
14 |
16 |
16 |
경제구조와 경제생활 |
2 |
4 |
2 |
3 |
3 |
6 |
2 |
4 |
4 |
3 |
1 |
사회구조와 사회생활 |
3 |
3 |
2 |
3 |
3 |
4 |
2 |
3 |
1 |
2 |
3 |
민족문화의 발달 |
3 |
4 |
5 |
5 |
5 |
6 |
3 |
3 |
4 |
3 |
2 |
근현대사의 흐름 |
6 |
5 |
6 |
7 |
4 |
0 |
0 |
0 |
0 |
0 |
0 |
합계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|
|
국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문제를 구성하기 때문에 문제 출제 방식의 변화는 없다. 특징적인 부분은 문화의 비중이 늘어가고 있으며, 근현대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가는 추세라 할 수 있다. 과거와 비교할 때, 1-2문제가 추가되어 5-6문제가 평균적으로 출제되기 때문에, 근현대사를 공부하지 않는다면, 시험을 아무리 잘 봐도 70점 후반대에서 멈추게 된다. 또한, 각 시대별로 골고루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시대별 편중된 학습은 금물이다. 기본서를 통한 시대별 체계를 잡고, 단원별 문제와 기출 문제를 통해 확인 점검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이다. |
|
|
번호 |
문 제 |
1 |
구석기 시대의 유물. 신석기, 청동기 시대 구분 요망 |
2 |
초기 국가의 풍습과 생활. 고구려, 옥저, 동예, 부여, 삼한 구별 |
3 |
왕의 칭호 변화에 따른 의미 변화 |
4 |
유교 정치 이념 강화를 위한 국왕의 정책 방향 이해 |
5 |
고려의 대외 항쟁 구별. 거란, 여진, 몽고 항쟁 구분 요망 |
6 |
조선의 중앙 정치 기구 구분 |
7 |
인조의 정책 붕당 이해. 광해군의 외교 정책과 붕당 구분 |
8 |
조선의 군사 제도. 속오군에 대한 이해 |
9 |
영조와 정조의 정책 및 공통점 구별 |
10 |
1987년 6월 항쟁의 배경. 1960.4.19부터 시대별 사건 구별 |
11 |
녹읍의 폐지와 왕권 강화 |
12 |
고려의 화폐 |
13 |
조선의 토지 제도 변화와 구체적인 내용 이해 |
14 |
수취 체제 중 전세 제도에 대한 이해. 균역법, 영정법, 대동법 구별 요망 |
15 |
개항 이후 열강의 경제 침투에 대한 구체적 양상 |
16 |
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내용 이해 |
17 |
백제의 문화 유산. 남조의 영향을 받은 유물 이해 |
18 |
조선의 관청 |
19 |
고려 백정과 조선 백정의 신분과 지위 구별 |
20 |
연해주에 대한 이해 |
21 |
삼국유사와 삼국사기 구별 |
22 |
지봉유설, 성호사설 등 실학 관련 서적들의 공통된 특징 구별 |
23 |
중국과 아라비아의 역법을 참고하여 최초로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계산한 칠정산에 대한 내용 이해 |
24 |
한성 순보, 독립 신문, 황성 신문, 대한 메일 신보에 대한 구별 |
25 |
신채호, 박은식 등 민족주의 사학자의 활동과 저술 구별 |
|
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