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|
|
|
|
|
|
|
|
|
|
 |
|
 |
|
연도 |
2013 |
2014 |
2015 |
2016 |
2017 |
단원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어휘 및 관용 표현 |
3 |
3 |
3 |
3 |
3 |
4 |
6 |
6 |
독해 |
18 |
16 |
16 |
17 |
15 |
16 |
13 |
13 |
문법 |
2 |
3 |
4 |
2 |
3 |
3 |
2 |
3 |
생활영어 |
2 |
3 |
2 |
3 |
4 |
2 |
4 |
3 |
합계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|
|
 |
|
연도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단원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2회 |
1회 |
단어/숙어 |
6 |
5 |
4 |
4 |
5 |
5 |
7 |
7 |
5 |
문법 |
1 |
2 |
3 |
2 |
1 |
1 |
0 |
1 |
1 |
생활영어 |
5 |
5 |
12 |
5 |
7 |
7 |
7 |
5 |
5 |
독해 |
13 |
13 |
6 |
14 |
12 |
12 |
11 |
12 |
14 |
합계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25 |
|
|
최신 출제 경향 분석
최근 고졸 영어의 출제 유형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, 전체 난이도는 예년과 비교해 상승하고 있습니다.
각 부문별로 살펴보면 어휘 파트에서는 숙어, 관용 표현의 출제가 많았던 것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.
2017년 개정 검정고시 출제 범위가 실용영어Ⅰ로 바뀐 만큼 실용영어, 특이 장소·상황별 생활영어에서 중
점적으로 출제가 되었으니, 참고 하시고, 또 하나 유념할 것은 최근의 추세에 맞춘 환경, 기후, 공해와 같은 주
제의 생활영어 출제가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있었으니, 이 부분도 참고하셔야 하겠습니다.
전체의 50% 이상의 출제 문항을 차지하는 독해 파트는 전체적인 난이도가 상승하고 있는데, 구체적으로 어
휘 난이도, 문항의 질문 유형의 다각화 등이 독해 난이도 상승의 원인이 되었습니다.
또한 결정적인 특징은 예년 기출 독해 문항은 한, 두 문장을 보면 문항의 답을 알 수 있는 문제가 많았던 반
면, 최근 독해문제는 전체 글의 이해도를 판별하기 위한 문항이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.
결과적으로 어휘와 문법, 그리고 독해 훈련을 꾸준히, 지속적으로 하여 영어 전 부분의 기본기가 튼튼하여야
좋은 결과를 낼 수 있으니, 이를 참고하시어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|
|
|
|
|
|